최근들어 여러가지 모니터들이 개발되고 있는데요.
SD, HD, FHD, UHD 등 해상도들이
모니터 혹은 TV 성능의 지표가 되고 있습니다.
그러나 컴퓨터 모니터에서는 다른 지표또한 매우 중요한데요.
바로 주사율과 프레임 입니다.
먼주 이 주사율이란 용어는 모니터에서 정지된 화면을
1초만에 몇개를 출력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지표인데요.
기본적으로 우니나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모니터의 주사율은 60Hz 입니다.
1초에 60개의 사진을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이죠.
그리고 최근들어는 120Hz, 144Hz, 혹은 240Hz까지
훨씬 더 고성능의 모니터들이 출시되고 있는데요.
주사율에 차이에 따라 성능의 차이는 어떻게 될까요?
위 사진과 같이 같은 동작을 여러장면으로 쪼개어 표현할수록
부드러운 영상이 나오는 것은 당연한데요.
예를들어 새가 날아가는 장면이 있습니다.
이 장면을 을 60개로 쪼개서 출력하는 것과,
120개로 쪼개서 표현하는 화면의 부드러움 정도의 차이는 하늘과 땅 차이겠죠.
따라서 기본적으로 주사율이 높은
모니터가 훨씬 더 부드러운 영상을 표현할 수 있는
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것이 맞습니다.
그러나 모니터의 최대 주사율이 높다고 해서
영상이나 게임의 화면이 모두 부드러운 영상을 송출하는 것은 아닌데요.
바로 컴퓨터에서 모니터로 보내는 영상신호의 프레임
즉 fps도 매우 중요합니다.
1초에 60개의 화면을 송출 할 수 있다고 해도,
1초에 공급해주는 사진이 30개밖에 되지 않는다면,
그 화면은 30Hz의 모니터와 별 차이가 없을 텐데요.
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.
60Hz의 모니터에 140Hz의 프레임을 전송한다면
화면 송출 능력에 비해 너무 많은 프레임을 견디지 못해
화면이 끊기거나 느려지고 버벅거리는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.
그렇다면 fps는 어떻게 높일 수 있을까요?
모니터는 144Hz의 주사율까지 지원하는데도
게임을 하다보면 버벅거릴 때가 있습니다.
기본적으로 주사율 설정은
바탕화면 마우스 우클릭 - 화면해상도 - 고급설정 - 모니터에서 설정을 할 수 있고,
또한 게임 내부에서 옵션이나 fps 설정을 할 수 있는데요.
아무리 옵션을 높여도 게임화면이 버벅거린다면, 컴퓨터 본체의 그래픽 카드와
CPU의 연산속도가 뒤쳐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
즉 컴퓨터의 사양을 직접적으로 높혀야
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.
모니터의 최대 주사율이 높다는 것은
모니터의 잠재적인 능력이 높다는 것이지
본체의 성능이 따라주지 않는다면 그 능력을 100% 발휘할 수 없습니다.
부드러운 영상으로 게임을 하거나 영화를 감상하고 싶다면
높은 사양의 모니터만 구매를 할 것이 아니라,
그 전에 본인의 컴퓨터의 사양도 체크하여
업그레이드 하는것을 추천합니다.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컴퓨터가 안꺼져요 간단한 해결방법 (6) | 2018.02.22 |
---|---|
페이스북 동영상 다운로드 하는방법 (1) | 2018.02.21 |
모니터 주사율 확인 방법 2가지 정리 (0) | 2018.02.13 |
인터넷 라디오 듣는방법 따라해봅시다 (0) | 2018.02.12 |
컴퓨터 자동종료 프로그램 사용방법 (0) | 2018.02.09 |